close

  • 부천
  • 서울
  • 남양주
  • 의정부
  • 수원
  • 인천
  • 천안
  • 대전
  • 청주
  • 광주
  • 목포
  • 부산
  • 제주

LAW-WIN

사건 영역

이름

전화번호

상담 신청

Case

chevron_right

지식센터

형사사건

왜 인간은 굴레로 다시 돌아오는가 : 자유, 관계, 가스라이팅 그리고 형사문제의 철학

왜 인간은 굴레로 다시 돌아오는가 : 자유, 관계, 가스라이팅 그리고 형사문제의 철학

 

 

작성자 : 법무법인 법승 이승우 형사전문변호사
 

법무법인 법승 대표변호사 / 대한변협 등록번호 115**호 / 형사법 전문 변호사

 


 


📋 메타설명

 

 

"자유를 얻고도 왜 다시 구속된 관계로 되돌아가는가?" 형사문제의 이면에는 종종 인간 존재의 불안, 고독, 그리고 관계 속의 자기상실이 자리합니다. 에리히 프롬과 서머싯 몸을 통해 형사사건의 인간적 깊이를 돌아보는 지식센터 콘텐츠입니다.

 

 

 

 

 

 


📂 목차

 

 

자유를 얻은 인간은 왜 다시 구속을 갈망하는가?

에리히 프롬 『자유로부터의 도피』와 가스라이팅의 구조

『인간의 굴레』에서 드러나는 고통의 실존

자유와 관계, 그 사이에서 인간은 왜 흔들리는가?

형사사건 속 '자기기만'과 '관계의 굴레'

철학이 말해주지 않는 실존의 깊이 : 법정에서 마주하는 인간

마무리 : 여러분의 말과 생각은 운명을 바꾸는 힘이 있습니다

 

 

 


📖 자유를 얻은 인간은 왜 다시 구속을 갈망하는가?

 

 

많은 사람들은 자유를 원한다고 말하지만, 막상 자유를 얻으면 고독과 불안 속에 허우적거립니다. 형사사건에서 우리는 종종 ‘자유로의 도피’가 아니라, 자유로부터의 도피 현상을 목격합니다.

 

가령, 오랫동안 학대받은 연인이 그 관계를 끊어냈음에도 다시 그 상대에게 돌아가는 사례들, 집단에서 벗어나고도 또다시 새로운 권위에 종속되는 현상은 인간의 ‘자유 감당 능력’에 대한 실존적 의문을 제기합니다.

 

 

 


🔍 에리히 프롬 『자유로부터의 도피』와 가스라이팅의 구조

 

 

프롬은 인간이 진정한 자유를 감당하지 못하고, 다시 권위, 전체주의, 가짜 관계로 도피한다고 분석했습니다.

 

 

권위에 의한 복종

 

• 파괴성(관계 회피)

 

• 자동적 동조(자기 상실)


 

이런 기제는 형사 사건, 특히 가스라이팅이나 연인 간 범죄, 사기적 관계 사건 등에서 매우 자주 등장합니다.

 

피해자와 피의자가 구분되지 않는 관계 속에서, 인간은 자신도 모르게 자유를 포기하고 가짜 친밀감에 안주합니다.

 


 


🔒 『인간의 굴레』에서 드러나는 고통의 실존

 

 

서머싯 몸의 『인간의 굴레』는 프롬의 이론보다 훨씬 실존적 고통에 가까이 다가갑니다.
주인공 필립은 실제 작가의 자전적 인물로,

 

 

• 외모 콤플렉스,

 

• 치욕적인 사랑,

 

• 실패와 무력감,
 

이 모든 과정을 통해 삶의 진정한 굴레가 타인이 아닌 자기 안에 있음을 깨닫습니다.

 


이는 실제 형사 피의자들도 겪는 감정입니다.
사랑, 죄책감, 증오, 자기혐오는 대부분 사건을 통해 폭발적으로 드러나며,
그 감정이 통제되지 않을 때 범죄로 연결되는 순간이 발생합니다.

 

 

 


👥 자유와 관계, 그 사이에서 인간은 왜 흔들리는가?

 

 

자유는 관계를 요구하고, 관계는 자기 상실을 유발합니다.
이 딜레마 속에서 인간은 스스로 가면을 쓰고, 스스로 구속을 요청합니다.

 

법정에서 만나는 수많은 사람들은
“사랑해서 그랬다”
“그 사람 없으면 나는 아무것도 아니었다”라고 말합니다.
이는 명백한 자백이자, 관계의 굴레를 보여주는 실존적 고백입니다.

 

 

 

 

 

 


⏳ 형사사건 속 '자기기만'과 '관계의 굴레'

 

 

형사전문변호사로서 저는 많은 사건에서 다음과 같은 심리를 목격합니다.

 

 

• 피해자임에도 자신을 비난하는 사람들

 

• 가해자임에도 죄의식을 못 느끼는 사람들

 

• 스스로 만든 관계 속에서 얽매인 사람들

 


그들은 대개 '자유로운 선택'을 했다고 착각하지만,
사실은 타인의 욕망과 판단, 감정의 지형 속에서 선택이라는 이름의 종속을 반복한 것입니다.
이는 곧 프롬이 말한 ‘자유로부터의 도피’이자, ‘관계로부터의 도피’입니다.

 

 

 


🏛 철학이 말해주지 않는 실존의 깊이 : 법정에서 마주하는 인간

 

 

프롬의 이론은 구조적이고 사회심리학적으로 훌륭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자신의 삶을 찢어보이며 쓴 글은 아닙니다.
서머싯 몸은 자신의 치욕과 굴욕, 무력함을 솔직히 드러냄으로써
고통과 자유 사이의 진실한 인간의 얼굴을 그렸습니다.

 

 

형사변호란, 바로 그 얼굴을 대면하는 작업입니다.
이론이 아닌, 실존의 냄새를 품은 사람들과 함께 그 굴레의 의미를 되묻는 일입니다.

 

 

 


🧭 마무리 : 여러분의 말과 생각은 운명을 바꾸는 힘이 있습니다

 

 

형사사건은 단지 법률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 사건 속에는 언제나 관계, 고통, 굴레, 그리고 도피하려는 자유가 숨어 있습니다.
진정한 해결은 법률 이전에 자신과의 정직한 마주침에서 시작됩니다.

 

여러분의 생각과 말과 글, 그리고 경험은
여러분의 운명을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지식칼럼

관련된 성공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