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전화
누군가를 디지털 성범죄자로 만들어 버리기 – 디지털 누명, 그 위험한 설계
훌륭한 주제는 상담과 질문으로부터 비롯됩니다. 이 글은 법무법인 법승 지식센터용 콘텐츠로서,디지털 성범죄 프레임의 위험성과 구조를 분석하고, 피해자 보호와 수사기관의 책무성을 동시에 다루는 전문 콘텐츠로 구성되었습니다.
📋 메타 설명
휴대폰 하나로도 디지털 성범죄자가 될 수 있습니다.삭제된 영상, 복구된 파일, 고의 없는 오해가 어떻게 인생을 망치는지 분석합니다.

📌 목차
들어가며 : 우리는 얼마나 쉽게 범죄자가 될 수 있는가
디지털 성범죄의 판정 구조 : "누가 만들었는가"가 아니라 "어디 있었는가"
실제 사례 시나리오 : 삭제된 영상 하나로 무너진 청소년
딥페이크와 파일조작, 그리고 제보라는 이름의 공격
경찰과 포렌식, 그리고 기계가 놓치는 ‘행위자의 의도’
수사의 본질은 질문이다 : 책임 추정의 함정
부모와 교사, 보호자에게 전하는 메시지
법무법인 법승의 방어 전략 : 의심이 아니라 구조를 본다
맺음말 : 진실은 기술 너머에 있다
🔍 들어가며 : 우리는 얼마나 쉽게 범죄자가 될 수 있는가
한 학생의 스마트폰에서 성적 영상이 복구되었습니다.그 영상은 삭제된 상태였고, 해당 학생은 그런 영상이 있었다는 사실조차 몰랐다고 진술했습니다.그러나 학교는 즉시 조사에 착수했고, 경찰은 포렌식을 통해 ‘삭제 흔적’을 확보했습니다.영상은 존재했고, 스마트폰은 그 학생의 것이었습니다.
그 아이는, 단지 책상에 폰을 두고 화장실을 다녀온 사이 디지털 성범죄자가 될 뻔했습니다.
이 글은 누군가를 디지털 성범죄자로 ‘만드는’ 과정,즉, 의도가 아니라 상황과 기술, 그리고 시스템이 사람을 범죄자로 설정해버리는 방식을 드러냅니다.
📑 디지털 성범죄의 판정 구조 : "누가 만들었는가"가 아니라 "어디 있었는가"
디지털 성범죄 수사에서 가장 먼저 확인되는 것은 ‘파일의 존재’입니다. 영상이 있었다면, 누구 폰에 있었는지를 확인하고,그 폰의 주인을 실행자 혹은 보관자로 전제합니다.
그러나 디지털 포렌식은 ‘무엇이 있었는가’를 알려줄 뿐,
‘누가 했는가’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수사기관의 책임 추정이 전혀 맞지 않습니다
• 타인이 폰을 무단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 폰 잠금이 생체인증으로 쉽게 해제되는 경우
• 영상이 포렌식 복구된 시점 이전에 이미 삭제되었고,
폰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인식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그럼에도 많은 사건에서 수사는
"영상이 너의 폰에 있었으니, 네가 만든 것이다"라는 전제로 시작됩니다.
📒 실제 사례 시나리오 : 삭제된 영상 하나로 무너진 청소년
한 고등학생 A군은 친구 B군에게 자주 휴대폰을 빌려주곤 했습니다.B군은 어느 날 A군의 폰을 무단으로 열어 불법 성착취물을 다운로드하고, 잠시 후 삭제한 뒤 아무 일 없다는 듯 돌려주었습니다.몇 주 후 B군은 익명으로 학교에 진정서를 넣었습니다.
"A군의 휴대폰에 이상한 영상이 있었습니다. 직접 본 건 아니지만 친구들에게 들었습니다."
학교는 즉시 A군의 폰을 회수했고, 복구된 영상은 수사기관으로 넘어갔습니다. 포렌식 결과만 남았고, A군의 반박은 “기억이 없다”, “그런 영상 본 적 없다”라는 말뿐이었습니다.
그의 고등학교 생활은 그 삭제된 영상 하나로 무너졌습니다.
🖥 딥페이크와 파일 조작, 그리고 제보라는 이름의 공격
이제는 단순한 저장이 아닌, 합성과 조작, 삭제까지가 한 묶음이 된 범죄 방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 딥페이크 앱은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고
• SNS 공개 프로필 사진만 있어도 성착취물을 만들 수 있으며
• 이를 타인의 기기에 심고 삭제한 뒤, 진정서 하나로 수사기관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특히 “제보자” 혹은 “선의의 목격자”로 위장하면,경찰은 제보자를 피해자처럼 보호하고, 기기의 명의자를 가해자로 전제하는 수사 구조가 형성됩니다.

💡 경찰과 포렌식, 그리고 기계가 놓치는 ‘행위자의 의도’
디지털 포렌식은 분명 강력한 증거 수단입니다.그러나 그것은 기기의 진실을 복원하는 도구일 뿐, 인간의 행위를 해석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영상이 언제 저장되었는지, 삭제된 시각이 언제인지, 앱이 설치되었는지 등은 알 수 있어도그 순간 “누가 그 기기를 사용했는지”, “왜 사용했는지”는 기계가 답할 수 없는 질문입니다.
그럼에도 많은 수사에서
“기기에 영상이 있었으니, 네가 만든 것이다” 라는 결론으로 직진합니다.
이것은 기계의 증거는 있지만, 행위자의 의도는 생략된 수사입니다.
💬 수사의 본질은 질문이다 : 책임 추정의 함정
형사법의 원칙은 단순합니다.
“의심스러울 때는 피의자에게 유리하게.” “책임은 기계가 아닌 인간에게 돌아가야 하며, 그 책임은 입증되어야 한다.”
하지만 디지털 범죄 수사는 빠르고, 사회적 분노는 크고,학교나 직장은 진실보다 ‘조기 정리’와 ‘위험 회피’를 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기기에 있었다” → “넌 왜 몰랐니?” → “그러면 너다.” 라는 식의 역전된 추정 구조가 발생합니다.
그 질문은 어디로 갔습니까?
• 누가 만들었는가?
• 언제 접근했는가?
• 왜 그렇게 됐는가?
그 질문을 생략한 수사는 ‘진실 수사’가 아닙니다.
📢 부모와 교사, 보호자에게 전하는 메시지
혹시 우리 아이가,
• 친구가 잠금 해제 방법을 알고 있는 휴대폰을 갖고 있다면?
• 지문으로 쉽게 잠금이 풀리는 기기를 쓰고 있다면?
• 이상한 앱이 설치되었다가 사라지는 걸 인지하지 못한다면?
그 순간부터 아이는 누군가의 프레임 안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부모와 교사는 단순한 감시자가 아니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안내자가 되어야 합니다.
🔹“비밀번호는 친구에게도 공유하지 마.”
🔹“폰을 잠깐이라도 빌려주면 꼭 어떤 앱이 설치됐는지 확인해.”
🔹“삭제된 영상도 다시 살아날 수 있어. 사용 기록을 항상 점검해.”
이것은 단순한 기술 지도가 아니라, 생존의 기술입니다.
⚖ 법무법인 법승의 방어 전략 : 의심이 아니라 구조를 본다
법무법인 법승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서 사건을 다룹니다
✅ 기기의 포렌식은 입체적으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 단순한 존재 여부가 아니라, 실행 시점, 앱 설치 로그, 클라우드 동기화까지 추적
✅ 기기 사용자의 ‘실제 사용자성’을 입증해야 합니다.
→ 지문 해제, 잠금 패턴, 앱 사용 시간, 동선 알리바이 분석
✅ 반복된 타인 접근 여부를 드러내야 합니다.
→ 친구 진술, CCTV, 학교 내 보안구조 등 정황 증거 확보
✅ 제보자의 신빙성 자체를 구조적으로 분석합니다.
→ 제보의 시점, 동기, 관계, 영상의 접촉 경로 등
피의자를 보는 것이 아니라, 사건의 구조를 보는 것.그것이 법무법인 법승의 형사방어 전략입니다.
🧭 맺음말 : 진실은 기술 너머에 있다
우리는 점점 더 정교한 기술에 둘러싸인 사회를 살아갑니다.그러나 진실은 언제나 기술 너머에 있습니다.
삭제된 영상이 아니라, 삭제된 질문이 문제이며,기기의 증거가 아니라, 인간의 의도가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혹시 내 아이가, 내 가족이, 내 학생이 그 프레임에 들어가지 않도록 지금 우리가 질문을 회복해야 할 때입니다.


칼럼 소식이 도움이 되었다면
상단의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