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전화
교회나 사찰 등 종교단체가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임의제공 했을 때의
법적 문제와 대응 방안을 『 이승우 변호사 』가 알려드립니다.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과 불법 사용에 대한 대처 방법도 함께 알아보세요.
◈ 교회나 각종 단체는 가입 정보나 회원 정보를 관련 협회나 상위 기관에 전달할 때가 있습니다.
이는 보통 단체 간 협력이나 관리 목적에서 이루어지지만, 이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반드시 정보주체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 특히 대한민국의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위반 시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만약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정보가 전달되면 해당 단체는 불법 행위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정보주체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하거나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오늘은 유출된 개인정보가 주로 악용되는 범죄 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보이스피싱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의 정보가 담긴 DB를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공격을 시도합니다. 피해자의 금융 정보를 속여 빼내기 위해, 개인정보를 활용해 신뢰를 쌓거나 권위 있는 인물로 가장합니다.
■ 불법 도박 및 도박 중독 유도 광고
연락처 정보가 불법 도박 사이트 홍보에 활용됩니다. 문자나 전화를 통해 도박 사이트 링크를 전송하며, 이를 통해 피해자들이 도박에 참여하도 유도합니다.
■ 주식 리딩방 사기
주식 투자에 관심 있는 사람들의 정보를 구체적으로 타겟팅해 주식 리딩방 가입을 유도하는 사기입니다. 개인정보를 활용해 신뢰를 얻고, 불법 리딩방으로 유도하여 피해를 입힙니다.
■ 마약 및 불법 약물 판매 유도
특정 대상에게 불법 약물 광고를 보내기 위해 개인정보를 악용합니다. 마약 및 불법 약물을 구매하도록 유도하여 중독을 유발하거나 금전적 피해를 입힙니다.
■ 성매매 알선 광고
연락처를 활용하여 성매매 알선 문자를 발송하거나, 불법 유흥 관련 광고를 보냅니다. 성매매나 불법 유흥을 위해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타겟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대출 사기
대출을 필요로 하는 대상자를 타겟으로 사기 문자나 전화를 통해 대출 사기를 시도합니다. 개인정보를 통해 대상의 신뢰를 얻고, 대출 사기를 통해 금융 피해를 입힙니다.
■ 보험 및 금융 상품 사기
개인정보를 활용해 보험 상품 가입을 유도하거나, 잘못된 금융 상품을 판매하는 사기를 시도합니다. 이는 피해자의 경제 상황과 관심사에 맞춘 정교한 접근 방식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스미싱 및 피싱 사기
연락처 정보를 통해 악성 링크가 담긴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을 발송하여 피해자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악성 코드를 설치해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금전을 빼내는 방식입니다.
■ 쇼핑몰 구매 사기
개인정보 DB를 이용해 가짜 쇼핑몰을 통해 구매를 유도하고, 결제 후 상품을 발송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기 행위를 저지릅니다.
■ 온라인 계정 탈취
이메일 주소, 아이디 등 DB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온라인 계정 탈취 시도를 합니다. 이를 통해 비밀번호를 초기화하거나 피싱 메시지를 보내 계정을 탈취합니다.

■ 청소년 유해물 홍보
청소년 정보가 포함된 DB를 통해 유해 콘텐츠 접근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보내거나, 불법 사이트로 유인해 피해를 입히는 경우입니다.
■ 신용 사기 및 명의 도용
유출된 개인정보를 통해 신용카드나 금융 계좌를 개설하거나, 명의를 도용해 대출을 받는 등 피해를 입히는 신용 사기 행위에 활용됩니다.
■ 가짜 채용 공고 사기
취업 희망자 정보를 바탕으로 가짜 채용 공고를 통해 개인정보를 추가로 수집하고, 금전을 요구하거나 사기 행위를 저지릅니다.
■ 투자 사기
개인의 재정 상황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고수익 투자처를 추천하는 방식의 사기를 벌이며, 피해자를 속여 투자금을 갈취합니다.
■ 게임 관련 사기
게임 관련 사용자 정보를 통해 게임 계정 도용, 아이템 사기 등 특정 게임 관련 사기를 저지르며, 특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기가 많습니다.
지금까지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과
불법 사용에 대한 대처 방법들을
살펴보았습니다.
『 법무법인 법승 』은
고객의 소리에 항상 귀 기울이고 있습니다.
교회나 사회 단체들이 정당한 절차 없이
개인정보를 제3의 기관에 제공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며,
구성원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철저한 관리와 동의 절차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칼럼 소식이 도움이 되었다면
상단의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